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정보공유

삼성전자 NXP 인수 관련 요약 정리

반응형

1. NXP는 무슨 회사일까?

NXP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 가운데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와 인포테인먼트,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등의 기술 역량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습니다. 독일의 인피니언이 사이프러스를 인수하기 전인 2018년까지는 NXP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점유율 1위였습니다. 지난해 순위는 2위를 기록했습니다.

2. 인수예상가격

삼성전자가 NXP를 인수할 경우 인수가는 70조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NXP의 시가총액은 4월 27일(한국 기준) 62조 8,20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3. NXP 인수설 등장배경

① 월가 투자전문지 배런스에 따르면 JP모간은 최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M&A(인수합병)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NXP와 함께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스 등 미국에서 생산시설을 운영하는 반도체업체를 후보로 거론했습니다.

② 지난 1월 최윤호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사장(CFO)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3년 내 의미있는 M&A를 전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오는 29일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진행할 컨퍼런스콜에서 어떤 투자 계획을 밝힐지 주목이 됩니다.

4. NXP 인수 장점

① 삼성전자가 NXP를 인수한다면 차량용 AP와 인포테인먼트 분야에서 하만과 시너지를 우선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절대 강자가 없는 상황에서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지는 분야로 꼽힙니다.

②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380억달러에서 2040년 1500~200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자동차 1대에 탑재되는 반도체 가격도 2018년 400달러에서 2024년 1000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③ 자동차용 반도체는 차량 부품이라는 특성상 납품할 때까지 장기간 검증이 필수적인데 NXP를 인수한다면 시장을 선점하는 데 유리할 것입니다.

5. NXP 인수 걸림돌

① 삼성전자의 실익이 크지 않다는 회의론이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NXP를 인수하면 BMW나 포드 등 NXP의 기존 고객사를 상대로 자동차 전장(전자장비)사업을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는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 사업 특성상 큰 수익을 거두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NXP의 지난해 매출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 비중이 44%로 나머지 매출은 사물인터넷(21%), 통신인프라(20%), 모바일(15%) 등 삼성전자의 사업분야와 겹칩니다.

② 주요국의 패권 경쟁에서 반도체가 핵심기술로 떠오르면서 인수전에서 견제가 예상됩니다. 영국은 최근 미국 엔비디아의 ARM 인수에 문제를 제기하며 제동을 걸었습니다. 중국은 미국 어플라이드머티리얼의 일본 고쿠사이일렉트릭 인수 심사를 보류하면서 인수전을 또다시 무산시켰습니다.

③ 삼성전자 내부적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 상태에서 70조원 안팎의 M&A를 결단하기 쉽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로 지적됩니다.

 


[참고기사]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008&aid=0004578515&rankingType=RANKING

 

퀄컴이 놓친 車반도체 그 회사…"삼성도 '70조 인수 카드' 고민"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미중 갈등이 아니었다면 퀄컴이 3년 전에 품었을 회사죠. 삼성전자도 시너지 효과를 충분히 따져볼 가치가 있습니다." 26일 미국 월가의 JP모간이 다시 불을 지핀 삼성

news.naver.c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55366629018416&mediaCodeNo=257

 

또 불거진 삼성전자 'NXP 인수설'…29일 IR에서 무슨 말 나올까

삼성전자가 다음달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맞춰 국내와 미국에 최대 70조원에 달하는 반도체 투자 계획을 공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인수합병(M&A)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오는

www.edail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