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퀀트 투자 공부

[퀀트 투자] 1.1 파이썬 - 기본 자료형, 기본 연산자, 주석

반응형

1. 변수와 print()문

1) 변수(Variable)

변수는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변경, 삭제할 수 있도록 기록해 놓은 것입니다.

변수는 [변수명 = 변수에 넣을 값]과 같은 형태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print() 문

print() 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값을 입력하면 변수의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시)

삼성전자_주가에 대한 변수명에 60000이라는 값을 입력하고, print() 문 안에 변수명을 입력하면 변수의 값인 60000이 출력됩니다.

 

2. 기본자료형

1) 정수형(int)

type(변수) - 변수의 타입을 출력합니다.

삼성전자_주가라는 변수에 60000이라는 값을 주고 타입을 확인하면 정수형(int)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실수형(float)

삼성전자_배당율이라는 변수에 2.5라는 값을 주고 타입을 확인하면 실수형(float)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문자형(str)

종목이라는 변수에 '삼성전자' (문자형은 ' ' 혹은 " " 안에 입력) 라는 값을 주고 타입을 확인하면 문자형(str)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논리형(bool)

논리형은 참(True) 혹은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매수주문_유무라는 변수에 False 라는 값을 주고 타입을 확인하면 논리형(bool)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기본 연산자

변수와 변수 혹은 변수와 값 사이에 기본 연산자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직연산(+, -, *, /)

어제_삼성전자_주식수라는 변수에 100이라는 값을 주고 오늘_삼성전자_주식수는 어제_삼성전자_주식수에 100을 더해줍니다. 이 값을 출력하면 200이라는 결과값이 나옵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할 수 있습니다.

 

2) 비교(>, < , >=, <=)

비교의 결과는 논리형(bool)으로 나타납니다.

목표매도가를 65000, 현재주가를 63000이라는 값으로 지정하였습니다. 매도여부는 현재주가가 목표매도가보다 높거나 같으면 참(True), 낮으면 거짓(False)입니다. 현주가가 목표매도가보다 낮으므로 매도여부를 출력하면 False가 나옵니다.

 

3. 주석

코드 실행시 실행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보통 설명이나 일부 코드를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만들고 싶을 때 활용합니다.

 

한줄 주석(#)

여러줄 주석(''' ~ ''' , """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