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매경TEST 공부

탄력성 2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호탄력성, 기업의 총수입)

반응형

1.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상품의 단위 가격이 1% 변했을 때 수요량이 몇 %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수요의 법칙으로 상품 가격과 수요량의 역의 관계에 있으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항상 음(-)의 값을 가집니다. 수요량의 가격에 대한 절대적인 민감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부호에 상관없도록 절대값을 취하거나 음의 부호를 붙입니다.


2. 수요의 호탄력성(구간탄력성)


아래와 같은 수요곡선이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먼저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 B 수요의 가격탄력성

 

B -> A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A와 B 어느 점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것이 수요의 호탄력성입니다.

수요의 호탄력성이란 수요곡선상의 두 점 사이에서 측정한 탄력성을 말합니다.

수요의 호탄력성은 기준가격과 기준수요량 대신 평균가격과 평균수요량을 사용합니다. 다음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에서 계산한 수요탄력성을 호탄력성으로 계산해보면

A -> B 수요의 호탄력성

 

B -> A 수요의 호탄력성

A, B 중 어디를 기준으로 해도 수요의 호탄력성은 1.1로 동일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 요인



4. 기업의 총수입


기업의 총수입이란 기업이 상품을 생산 및 판매하여 벌어들인 수입의 총량을 말합니다.

총수입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총수입의 변화율은 가격의 변화율과 판매량의 변화율의 합입니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기업의 총수입 간의 관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경우, 가격을 낮게 측정하면 기업의 총수입이 증가합니다.

ex) 필수품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은 경우, 가격을 높게 측정하면 기업의 총수입이 증가합니다.

ex) 사치품, 담패, 휘발유, 커피

수요의 가격타력성이 1인 경우, 기업의 총수입은 가격에 의해 변동하지 않습니다.

 

반응형